성동구 성수동 붉은벽돌 지원사업
오늘은 제주도 고객님과 계약을 마치고 2포스트 도전에 나섰습니다!! ㅎㅎ 이번 포스팅에서는 성수동 붉은벽돌 지원사업 관련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이제 MZ세대의 핫 플레이스로 자리잡은 성수동은 한때 서울의 중심에 있던 도시제조업의 도시확장 과정에서 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세운 붉은 벽돌 건물이다. 벽돌 공장 지역이었습니다.
하지만!! IMF 이후 지속적인 산업 쇠퇴와 붉은 벽돌 다세대 주택의 확산으로 주거 기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수제화, 인쇄, 자동차정비 등 생활밀착형 산업이 중심이 되었고, 문화예술 복합공간, 수제화 타운, 소셜벤처 클러스터 등으로 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출처 : 성동구청
성수동은 2000년대 후반부터 특별계획구역이 해제(2017년 5월)될 때까지 일대 신축공급이 거의 없었다(전체 건축물의 87.5%가 1970~1990년 사이에 지어진!!)
이들 대부분은 주택에서 근린생활시설로 용도가 변경된 곳으로, 용도변경으로 인해 외부수리도 포함되면서 마감재 변경으로 붉은 벽돌 건물이 훼손되고 있는 상황이다. 성동구는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서울숲 북부 아뜰리에길 일대 약 30개 건물을 대상으로 서울시 예산 10억원을 들여 붉은벽돌 건축 시범사업을 시행했다. 출처 : 성동구청(적벽돌 건축물 분포현황) / 주거시설 741개소, 근린생활시설 126개소, 상업·업무용 건물 24개소, 공장·창고 57개소, 기타 9개동 1970~1990년대 성수동에 지어진 적벽돌 공장. 이번 프로젝트는 창고와 가옥의 보존과 지원을 통해 성수동만의 특성을 조성하기 위해 진행됐다. 당시 지원 대상 지역과 내용은 아래 첨부된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위치 성수동1가 685-580 면적 : 71,220㎡, 248개동 (붉은벽돌 169동 / 68.1%) 사업기간 2018년 1월 ~ 2020년 12월 사업내용 붉은벽돌 건물 보수비 지원 – 공사비의 50% % 이내 ( 최대 4,000만원) – 수리비의 50% 이내(최대 2,000만원) 소요예산 1,000만원(전액) 국토부 주최 ‘제3회 조경행정 우수사례 공모전’ 성동구 참가 2019년 7월 교통지원사업으로 추진됩니다. ‘빨간건물 보존지원사업’ 대상(장관상)도 수상했다. 성동구는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지난해 사업 면적을 확대하고 뚝섬역 남쪽 약 2만8000㎡ 지역을 적벽돌 건축물 밀집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이후 5개 건물이 등록되어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한국통신대학교 주변 지역과 성수역 주변 카페거리 지역도 붉은벽돌 건물 밀집지역으로 추가 지정되었습니다!!) 성수동 붉은벽돌 지원사업은 붉은벽돌 심의위원회에서 검토중입니다. 붉은벽돌 건축물을 신축·수리할 경우 건당 총 건축비의 최대 50%까지 최대 2천만원을 지원한다. 지원자가 많을 경우 추가 예산 확보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전해진다. 며칠 전 업데이트된 성수동 부동산 이슈 기사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성수동에 붉은 벽돌 건물을 신축하거나 증축할 경우 건폐율도 최대 10%까지 완화된다. , 그러니 게시물을 읽으실 때 이 점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이것으로 성수동 적벽돌 지원사업 관련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수동 부동산 첨단산업과 문화기지로서의 성수반공업지역 공장지대 성수동 부동산 첨단산업과 문화기지로서의 성수준공업지역 공장지대 부제목 : 성수동 계속 업그레이드중… blog.naver.com